대학원 연구실 서버에 새로 Lustre 파일 시스템을 설치하게 되었는데, 국문으로 된 설치 가이드도 오래된 버전뿐이라 정보 공유 및 정리 차원에서 작성한다.

 

러스터 파일 시스템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은 해당 링크를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시스존 블로그 : http://nblog.syszone.co.kr/wp-content/uploads/2014/12/Lustre.pdf

Lustre 위키 : http://wiki.lustre.org/Introduction_to_Lustre

 

Introduction to Lustre - Lustre Wiki

Overview Lustre* is an open-source, global single-namespace, POSIX-compliant, distributed parallel file system designed for scalability, high-performance, and high-availability. Lustre runs on Linux-based operating systems and employs a client-server netwo

wiki.lustre.org

 

Lustre를 구축하려는 서버는 총 3대이며, 1대의 MDS 서버와 2대의 OSS 서버로 구축한다.

MDS와 OSS 서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CPU : Intel Xeon Silver 4208 * 1

RAM : DDR4 32GB PC4-21300 ECC/REG (MDS : * 1, OSS : * 2)

SSD : WD Blue 500GB SATA3 2.5" * 1 

HDD : WD HC310 4TB 7200RPM/256MB 3.5" (MDS : * 1, OSS : * 4)

 

Lustre 파일 시스템을 주 사용처인 슈퍼컴퓨팅센터에서는 I/O 성능을 위해 InfiniBand를 내부 네트워크로 이용하지만,

연구실의 여건 상 InfiniBand 구성이 불가능하여 10G 네트워크 허브를 이용한 10G 이더넷 구성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Lustre LTS Release Support Matrix

 

러스터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지원하는 OS가 각각 다르고, 굉장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LTS Release Support Matrix 를 참고하여 서버 OS는 Red Hat 기반의 CentOS 7.8을 선택하였고,

Lustre 버전은 이에 맞춰 2.12.5로 설치한다. 

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클라이언트는 Ubuntu 18.04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 Recent posts